• 2025. 7. 8.

    by. 이너원-자유

     

    퇴직을 앞둔 분들, 혹은 미리 준비하는 직장인이라면 “언제, 어떻게 퇴직연금을 받는 것이 유리한가?”를 고민하게 되죠.
    이번 글에서는 퇴직연금 수령 방식, IRP 활용법, 세금 절감 전략까지 모두 정리했습니다.

     

    이 글 하나로 퇴직연금의 흐름과 최적의 수령 방법까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2025년 퇴직연금 수령법 총정리

     

    퇴직연금 수령법을 알기전에 알아야할 퇴직연금의 개념 : 기본 구조 정리

    퇴직연금은 근로자가 퇴직 후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일정 금액을 적립해두는 제도입니다. 기업이 운영하는 DB형, DC형 외에도 개인이 직접 운용할 수 있는 IRP(개인형 퇴직연금)가 존재하며, 각 제도는 적립 방식과 수령 방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IRP는 퇴직금을 이전하거나 본인이 자발적으로 납입해 운용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가집니다. 

    간략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DB형(확정급여형): 퇴직 시 받을 금액이 정해져 있고, 운용은 회사가 담당
    • DC형(확정기여형): 근로자가 직접 운용, 운용 성과에 따라 수령액 달라짐
    • IRP(개인형 퇴직연금): 개인이 스스로 운용하며, 퇴직금 이전이나 추가 납입 가능

     

    퇴직 시 퇴직연금 DB 혹은 퇴직연금 DC형으로 쌓인 금액은 IRP(개인형 퇴직연금) 계좌로 이전해 연금 형태로 수령 가능합니다.

     

    2025년 퇴직연금 수령법 총정리

     

    퇴직연금 수령방법: 일시금 vs 연금

    퇴직연금을 수령하는 방식은 크게 일시금과 연금으로 나뉘는데, 각각 장단점이 분명합니다. 일시금 수령은 퇴직 시점에 전체 금액을 한 번에 받을 수 있어 목돈이 필요할 때 유리하지만, 퇴직소득세가 많고 금세 자금을 소진할 위험이 있습니다. 반면 연금 수령은 IRP 계좌를 통해 일정 기간 분할 수령하면서 연금소득세로 전환되므로, 세금 부담이 줄고 자산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장기적으로 수령할수록 세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노후 대비 측면에서는 연금 수령 방식이 훨씬 효율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구분 일시금 수령 IRP통한 연금 수령
    수령 방식 퇴직 시 한 번에 전액 수령 일정 기간 분할 수령
    과세 방식 퇴직소득세 (누진세율) 연금소득세 (3.3~5.5%)
    장점 목돈 활용 가능 절세 및 안정적 노후자금
    단점 세금 부담 큼, 자금 유실 가능 장기 운용 필요

     

     

     TIP: 55세 이후 연금 수령 시 IRP에서 퇴직소득세의 30~40% 절세 효과 가능!

     

    2025년 퇴직연금 수령법 총정리

    IRP 계좌를 활용한 수령 전략

    왜 IRP가 핵심일까?
    퇴직금을 IRP로 이전하면 연금처럼 수령 가능하고, 절세 효과도 극대화됩니다.

    • 📌 퇴직소득세 이연: 일시금 수령 시보다 세금 부담이 낮아짐
    • 📌 연금소득세 전환: 일정한 연령에 도달하면 연금소득세 적용(저율)
    • 📌 추가 납입 가능: 본인이 연간 최대 900만 원까지 추가 납입 가능(세액공제 혜택)

     

     

    내게 맞는 수령 계획 세우기

    퇴직연금은 단순한 ‘퇴직금’이 아닙니다. 언제, 어떻게 수령하느냐에 따라 수천만 원의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특히 IRP 계좌를 활용한 전략적인 연금 수령은 절세와 노후 자산 안정성 모두를 잡을 수 있는 길입니다.

     

     

    전문가가 추천하는 수령 전략

    1. 퇴직금은 일시금으로 수령하지 말고, IRP로 이전하기
    2. 수령 개시는 최소 55세 이후로 늦춰라 (세금 감소)
    3. 수령 기간은 10년 이상 설정해 세금 부담 완화
    4. 추가 납입으로 소득공제 혜택 챙기기

    *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급여소득자의 경우 회사 담당자, 은행 담당자와 상담하세요.